전체 글 344

IP 주소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

[ 3계층의 기능 ] ● 3계층에서 하는 일 》 멀리 떨어진 곳(다른 네트워크 대역)과의 데이터 전송 ( WAN ) 》 송·수신 패킷의 경로 제어 ● 3계층에서 쓰는 주소 》 IP 주소 -> IPv4 주소 : 현재 PC에 할당된 IP 주소 -> 서브넷 마스크 :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 -> 게이트웨이 주소 : 외부와 통신 시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● 3계층 프로토콜 ① ARP protocol 》 IP 주소를 이용하여 MAC 주소를 알아냄 ② IPv4 protocol 》 WAN 통신 시 사용 ③ ICMP protocol 》 통신 확인 ● 일반적인 IP 주소 》 10진수로 표현 》 0.0.0.0 ~ 255.255.255.255 ① Classful IP 주소 유니캐스트를 위한 주소 A ..

CLOUD/Network 2023.01.30

가까운 컴퓨터의 데이터 통신

[ 2계층에서 하는 일 ] ● 2계층(데이터 링크)의 기능 》 같은 네트워크 상(LAN)에서의 데이터 전달 》 오류 제어, 흐름 제어 》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에는 3계층(네트워크) 필요 : 네트워크 주소 + 프로토콜 [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] ● 물리적인 주소 (MAC 주소) 》 LAN에서 통신 -> 8C-B0-E9 : OUI ( IEEE 에서 부여하는 제조회사 식별 ID ) -> 1F-CE-A7 : 고유번호 ( 제조사에서 부여한 고유번호 ) [ 2계층 프로토콜 ] ● Ethernet protocol 》 Destination Address : 목적지 PC의 MAC 주소 》 Source Address : 출발지 PC의 MAC 주소 [ 실습 ] ♬ Wireshark 이용 ♬ 》 Ethernet p..

CLOUD/Network 2023.01.27

네트워크 모델

[ 네트워크 모델의 종류 ] ① TCP/IP 모델 》 프로토콜의 모음 4 계층 응용 3 계층 전송 2 계층 네트워크 1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② OSI 7계층 》 ISO에서 표준으로 정함 》 데이터 자체의 흐름 7 계층 응용 HTTP, SMTP, SSH ... 6 계층 표현 SMB, AFP, XDR 5 계층 세션 NetBIOS 4 계층 전송 TCP, UDP, SPX 3 계층 네트워크 IP, ICMP, ARP ... 2 계층 데이터 링크 이더넷, PPP, ATM ... 1 계층 물리 전선, 전파, 광섬유 ... [ 두 모델 비교 ] ● 공통점 》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 》 계층 간 역할 정의 ● 차이점 》 계층의 수 》 TCP/IP : 프로토콜 기반 & 데이터 전송 기술 특화 》 OSI : 역할 기반 &..

CLOUD/Network 2023.01.27

네트워크란 무엇인가?

[ 네트워크란 무엇인가? ] ● 네트워크란? 》 노드들의 통신망 》 여러 장치들이 노드 간 연결을 통해 데이터 교환 *노드 : 네트워크 내 컴퓨터 혹은 통신 장비 ● 인터넷이란? 》 세상에서 가장 큰 네트워크 》 문서, 영상, 그림 등의 데이터 공유 가능 [ 네트워크의 분류 ] ● 크기에 따른 분류 ① LAN ( Local Area Network ) 》 가까운 지역을 하나(하나의 네트워크 장비 ex. 공유기)로 묶은 네트워크 》 인터넷이 없어도 같이 묶여 있으면 통신 가능 ② WAN ( Wide Area Network ) 》 LAN + LAN 》 멀리 있는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 ③ MAN ( Metropolitan Area Network ) ●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 ① Star 형 》 중앙 장비..

CLOUD/Network 2023.01.26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