◎ 가상머신 준비 ◎ : CentOS 8
→ ElasticSearch : cpu 2 / mem 4
[ Elasticsearch 설정 ]
》 데이터 저장소
》 자바 기반 : 자바 설치 필요
yum -y install java-1.8.0-openjdk-devel.x86_64
● Repository 추가
cat > /etc/yum.repos.d/elasticsearch.repo <<EOF
[elasticsearch-7.x]
name=Elasticsearch repository for 7.x packages
baseurl=https://artifacts.elastic.co/packages/7.x/yum
gpgcheck=1
gpgkey=https://artifacts.elastic.co/GPG-KEY-elasticsearch
enabled=1
autorefresh=1
type=rpm-md
EOF
● 설치
dnf -y install elasticsearch
● /etc/elasticsearch/jvm.options 파일 설정
# 31번, 32번 라인 주석 해제 후 수정
-Xms2g # Xms(설정한 메모리의 절반)g
-Xms2g
● 실행
systemctl enable elasticsearch
systemctl restart elasticsearch
● 확인
》 curl [option] [url] : 외부 서버 url 과 통신할 수 있는지 확인 (http 프로토콜 사용 가능)
curl http://127.0.0.1:9200
● 서버 바인딩 주소 설정
# 파일 실행
vi /etc/elasticsearch/elasticsearch.yml
# 주석 해제 & 수정
network.host: 0.0.0.0
discovery.seed_hosts: ["[elasticsearch ip]"]
cluster.initial_master_nodes: ["[elasticsearch ip]"]
# 파일 수정 후 재시작
systemctl restart elasticsearch
[ Elasticsearch 기본 사용법 ]
● 인덱스
》 RDB에서의 Database
① 조회
curl -XGET 'http://localhost:9200/_cat/indices?pretty'
② 생성
curl -XPUT 'http://localhost:9200/[생성할 인덱스 이름]'
③ 삭제
curl -XDELETE 'http://localhost:9200/[삭제할 인덱스 이름]'
▶ Postman에서도 확인 가능 (방화벽 해제 필요)
● 매핑
》 매핑 조회 : student 생성 시 넣어준 매핑이 없어서 비어있음
》 매핑 생성 - PUT : id값으로 넣어짐
》 매핑 생성 - POST : _doc
》 매핑 업데이트 : kim > lee 변경
》 모든 매핑 리스트 조회
》 매핑과 함께 인덱스 생성
》 매핑 추가
'CLOUD > OpenSour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lasticsearch/Kibana] Elasticsearch Cluster 구성하기 (0) | 2023.03.22 |
---|---|
[Kibana] 시작하기 (0) | 2023.03.22 |
[Kafka] Zookeeper & Kafka Clustering (0) | 2023.03.22 |
[Kafka] 게시글 등록 현황 실시간으로 확인 하기 (0) | 2023.03.21 |
[Kafka] REST Proxy 서버를 이용한 메세지 전송 (0) | 2023.03.21 |